이번 포스팅은 Back-End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DBMS 중 하나인 MySQL에 대해 아주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SQL문 사용 및 MySQL에 관련해서 더 자세한 정보는 'Server' 카테고리에 MySQL에서 확인해 주세요!

링크 : MySQL

 

'💾 Server/MySQL' 카테고리의 글 목록

성장하는 Back_End 개발자 블로그 🌱

dehw.tistory.com

 

WHY?

우리는 왜 MySQL과 같은 DB를 배워야 할까요?

정답은 간단합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와 파일 및 자료들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모든 정보와 자료를 종이 문서로 보관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아마 지구 전체가 종이로 덮일만큼 엄청나게 많은 종이 문서들이 생겨나겠죠.

즉, 모든 데이터 정보 및 자료들의 편리한 유지보수와 접근성을 위해 개발된 게 바로 데이터베이스(DB)의 개념이고 이 DB를 잘 다룰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중 하나인 MySQL이 있습니다!

이제 MySQL이 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MySQL이란?

MySQL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DB 1위, 2위를 다투고 있는 1995년에 발표된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입니다.

💡 오픈소스란? 누구든지 소스 코드를 보고 접근할 수 있으며, 라이센스 비용이 없기 때문에 상업용 DB에 비해 TCO가 낮습니다.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하고 수정하여 비용 없이, 그리고 벤더 종속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지만 오픈소스 DB의 구축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 관리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란?
 기존의 데이터 저장 접근법으로 키-값 짝을 사용해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 표의 형태로 정형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NoSQL(비관계형) DB 문서 데이터 스토어, 열-중심 데이터베이스, 키-값 스토리지 및 그래프 DB 등 대안적인 데이터 스토리지 아키텍처를 사용한 데이터 저장의 방식입니다. 비관계형 DB는 비정형 데이터를 다루는 데 적합합니다.

 

 제작사는 MySQL AB 회사인데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에게 10억 달러에 인수되었고, 이후 2010년 오라클이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를 72억달러에 인수하면서 같이 넘어가게 됩니다.

 이에 따라, MySQL의 실질적인 소유주는 오라클인데 현재 오라클은 자체 상용 DBMS인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소유하고 있고, 오픈 소스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은데다 프로그램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어서 MySQL 사용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MySQL을 모태로 MariaDB라는 DBMS를 제작했습니다.

MySQL 점유율

2022.02.16(월) 기준 DB 랭킹
2022.02.16(월) 기준 DB 랭킹

위 사진과 같이 오라클, MS SQL, MySQL, PostgreSQL은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라클에 인수된 이후 MySQL에서 발을 빼는 기업들이 늘어났습니다. 구글과 오라클, 자바의 저작권 소송으로 저작권 분쟁 위협을 느낀 일부 기업들은 MySQL에서 빠지기 시작해서 MariaDB, PostgreSQL 등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라클은 예상과 달리 MySQL에 대해서는 저작권 관련 분쟁을 일으키지 않아서 이런 불안감은 점차 사그라들었고, 2022년 기준 MySQL은 오라클 DB, MS SQL과 더불어 3대 DBMS라는 위상을 지키고 있습니다.

MySQL의 장점

  1. 오픈 소스 라이센스를 따르기 때문에 무료로 사용 가능
  2.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가지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
  3. 크기가 큰 데이터 집합도 아주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
  4. 널리 알려진 표준 SQL 형식을 사용
  5. MySQL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수정할 수 있음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